본문 바로가기

금융, 경제42

2월 23일 한국 기준금리 동결, 미국과 금리 격차가 벌어지는 봄. 곧 3월이 다가오는데 우리나라 경제에도 봄이 찾아올 수 있을지 모르겠다. 2월 23일 현재 한국은행이 경기침체 우려를 반영해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은행권 대출 금리는 다시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그리고 이번 동결이 금리 인상 기조가 끝났다는 의미로 받아들이지 않았으면 한다는 한국은행 총재 발언으로 연내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이 있고,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기준 금리를 0.25% 인상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지수가 5.2%로 전년 동기 대비 올랐다. 그리고 내려가던 환율이 최근 다시 1300원으로 올라가면서 좋은 신호는 아닌 것 같다. 여기에 가스비 인상, 전기세 인상으로 더 팍팍해진 가정경제에 소비가 위축되면서 소비가 둔화될 것 같다. 우리나라.. 2023. 2. 23.
은행, 독과점 이용해 약탈적 영업에 대한 이슈 독과점이란? 어떤 상품의 공급에 있어서 경쟁자가 하나도 없는 경우 (또는 한 회사가 시장 점유율을 50퍼센트 이상 차지하는 경우)인 독과점과, 경쟁자가 있기는 하지만 소수인 경우 (또는 셋 이하의 회사가 시장 점유율의 75 퍼센트를 차지하는 경우)의 과점을 합친 용어로써, 경쟁이 결여된 시장 형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독점이나 과점일 경우에는 완전 경쟁 상태보다 가격이 높아지는데, 이것은 시장의 수요 공급상의 결과가 아니라 독과점 기업의 의도적인 폭리 추구 때문으로, 시장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국내 은행 현황 금융권은 일반적으로 제1, 2, 3 금융권으로 나눌 수 있다. 제1 금융권에 해당하는 우리나라의 금융기관 중 특수은행은 정부계 은행으로 한국산업은행, 한국수.. 2023. 2. 20.
특판 금리! 예, 적금 가입하기 전 꼭 확인하고 가입하자. 2022년 5월 연준은 빅스텝을 시작으로 미국 금리를 계속 올렸다. 한국은행은 부담스러워도 기조를 유지하기 위해 금리 인상이 불가피했다. 기준금리가 뛰어 작년 한 해 시중 은행의 금리 경쟁이 시작됐다. 계속 오르는 금리와 예, 적금 특판으로 은행에서는 새벽부터 줄 서서 가입하는 고객들로 아침부터 늦은 밤까지 업무를 해야 했다. 또 금리가 오르면 줄 서서 신규 했던 예, 적금을 다시 해약하고 신규하고 이런 일이 지속되었다. 은행 창구에서 예, 적금 가입 시 많이 하는 질문을 정리해 보았다. 기초적인 내용이지만 이런 질문을 은근 많이 했다. 중도해지 기존 예, 적금을 중도해지하고 갈아타는 게 다 이익일까? 가입 기간에 따라 갈아타는 게 이익일 때가 있고, 아닐 때가 있다. 은행, 상품, 가입기간에 따라 중도.. 2023. 2. 18.
한국경제 기회와 도전 최근 미국과 중국의 갈등과 대중관세 부과 등 보호무역 기조로 인하여 제조업의 리쇼어링이 확산되고 있다. 코로나19 및 한일 갈등에 따라 IT를 뒤잇는 새로운 성장엔진으로써 바이오산업과 소재, 부품, 장비가 성장하는 것은 한국 경제의 기회 요인이다. 미국의 대중관세, 중국의 임금 상승, 디지털화 및 정부의 유인책 등으로 리쇼어링 가능성이 증대하고 실제로 사례도 늘어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지원을 더욱 각오해야 한다. 또한 바이오산업 가치 사슬 국산화도 중요하다. 한국의 경우, 현재 IT와 같이 사이클이 짧은 단주기 기술 중심에서 바이오와 같은 사이클이 긴 기술에 기반한 산업 중심으로 국가혁신체계를 전화하여야 한다. 단주기 산업은 중국과 같은 후발자에게 추격당하기가 상대적으로 쉬운 산업이기 때문에 진입 장벽.. 2023. 2. 11.
2023년 금융위원회 정책 비젼 금융위원회는 1월 30일 '흔들림 없는 금융안정, 내일을 여는 금융산업'을 만들기 위한 2023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하였다. 금융위는 당면현안인 확고한 금융시장 안정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실물, 민생경제를 뒷받침하여, 금융산업을 고부가가치 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는 비전 아래 12개 정책과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시장 안정 [1] 금융시장 불안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습니다. 우리 금융시장은 대내외 불안요인에도 불구, ‘50조원+α’의 적극적 시장안정조치와 기재부‧한은‧금감원과의 긴밀한 정책공조 등에 힘입어 안정적인 모습을 회복하고 있습니다. 현재 활용가능한 40조원 이상의 시장안정프로그램 지원여력을 활용하여 시장안정을 도모해 나가고, 신용등급이 좋지 않은 기업도 회사채 발행의 어려움이 없.. 2023. 2. 7.
글로벌 금융시장 및 지정학적 상황 1. 글로벌 주가 2021년 글로벌 증시는 완화적 통화정책 및 대규모 재정 부양책 등의 영향으로 전반적으로 강한 상승세 시현되었다. 이는 코로나19 위기 극복 국면을 맞아 기업실적 호조, 경기회복 기대감도 본격적으로 반영되었다. 특히, 미국 등 선진국 중신으로 강세를 보였으며 2021년 하반기 들어서는 선진국과 신흥국 증시 간 디커플링이 확대되었다. 주요국 긴축에 대응하는 신흥국의 선제적 금리 인상과 글로벌 공급망 병목 현상이 지속되고 중국 경기가 둔화될 전망 등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2022년 1분기에는 우크라이나 사태, 글로벌 인플레이션 장기화 우려,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유동성 축소될 전망이다. 2. 주요국 국채금리 미국 국채(TB:Treasury Bond)는 미국 정부가 돈을 빌리기.. 2023. 2. 6.